반응형
Database 종류
- RDBMS
- Postgresql
- Mssql
- Mysql/MariaDB
- Oracle
- NOSQL
- MongoDB
- Redis
Postgresql
- JSONB, ARRAY같은 타입으로 확장성이 좋습니다.
- vacuum이라는 작업을 통해 데이터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습니다.
- vacuum : PostgreSQL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조각 모음입니다. 변경 또는 삭제된 자료들이 차지했던 디스크 공간을 재사용 합니다.
- 인덱스 전용 검색 기능을 향상 시켜줍니다.
Mssql
- C#과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Database입니다.
- Windows 서버에서만 동작합니다.
Mysql와 MariaDB
- 유료/무료 버전 차이
- 커뮤니티 차이
- MariaDB > Mysql
- 롤 기반의 권한 기능 추가
- MariDB - 가능, Mysql - 불가능
Oracle
- 서버 클라이언트와 응용프로그램 이 분리되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.
- 멀티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타 RDBMS 보다 빠름 → 대규모 트래픽, 데이터
- 안전성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장 받을 수 있다. (유료 버전)
MongoDB
- 데이터 모델의 유연한 변화
- Json 구조로 직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
- I/O 속도가 RDBMS 보다 빠르게 처리 가능합니다.
-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취약
- 트랜잭션 지원이 RDBMS 보다 떨어집니다.
- 데이터 손실을 염두 해야 합니다.
Redis
- 데이터 유효 기간을 지정하여 데이터 운영을 유연하게 처리 가능합니다.
-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지원 합니다.
- String
- Set
- Sorted Set
- Hash
- List
- 읽기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Master-Slave 구조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.
- 한 서버에 여러개의 Redis 구축하여 Master-Salve 구조 구축 가능
- in-memory 방식으로 인해 장애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합니다.
반응형
'개발 개념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념 정리] Transaction에서 ACID와 MVCC란? (0) | 2024.11.20 |
---|